원주뉴스
치악산 남대봉을 오르며 자연예술 작품을 감상하다
기산 장기하
2020. 6. 4. 08:00
원주의 산 치악산
치악산 남쪽에 자리 잡은 남대봉
오래전부터 가고 싶었던 곳을 찾아갔다.
남대봉을 오르는 코스는 많이 있지만
신림 성남 방면에서 상원사를 거쳐 오르기로 결정을 하였다.
원주 장양리를 출발 성남가는 23번 시내버스를 타고 가거나
자가용을 타고 가면 출발점으로 갈 수 있는데
성남 가는 버스 시간표는 아래와 같다.
장양리발 : 06:30/09:00/11:15/13:20/15:30/17:40
성남발 : 07:50/10:30/12:40/14:50/17:00/19:10
시내버스는 성남주차장에서 멈추지만
자가용은 상원골주차장까지 갈 수 있다.
성남탐방지원센터에서 이정표를 확인하고
남대봉을 향해 오른다.
(성남탐방지원센터 ↔ 상원골주차장(2.7km) ↔ 상원사(2.5km) ↔ 남대봉(700m))
상원골 주차장은 넓다
산을 오르는 사람들을 위해 지팡이가 놓여 있었으니
배려하는 마음들이 가득한 세상은
따스하고 아름다운 세상이다.
상원사탐방로 문을 지나 내딛는 발걸음은
숲속 세상과 만난다.
이정표도 곳곳에 설치되어 산을 오르는 자의 궁금증을 덜어주고
계곡을 건너는 철제 다리도 놓여 있어 편안하다.
계곡을 흐르는 물소리
오염되지 않는 맑은 물은
몸과 마음을 씻어주니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행복하다.
산으로 오르는 숲길에는 돌이 많다.
길가에도 계곡에도 돌들이 가득하다.
돌은 돌이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보이는 것들이 있다.
돌 속에 사람의 얼굴이 숨어 있고.
산자락을 기어오르는 거북이를 닮은 돌도 있으며
바다의 제왕인 돌고래의 얼굴도 보았다.
정상으로 빨리 올라 갈 때는 볼 수 없었는데
천천히 오르다보니 보이는 것이다.
여유를 가지면 보이는 것들이 많고 신비롭다.
길가에
계곡에
누군가 쌓아 놓은 돌탑들이 보인다.
가까이 가서 자세히 살펴 보며 감상을 한다.
시멘트로 붙인 것이 아니라
돌의 중심을 잡아 쌓아올린 것이다.
그 정성이 얼마일까?
계곡은 설치예술작품 전시장으로 변하고 있었다.
돌탑은 인위적인 작품이라면
자연이 빚어내는 예술 작품도 만났다.
살아있는 나무임이 분명한데
아래 부분을 보면 죽은 나무임이 분명하다
네 다리는 근육이 발달하여 역동적이고
머리 부분은 세상을 가지려 한다.
뒷면에서 보는 몸통의 근육은
보디빌더들과 조금도 다를 바가 없으니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나무에서 삶의 지혜를 배워본다.